김현미 (정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현미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하고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했다. 새정치국민회의 부대변인, 청와대 부대변인, 열린우리당 경기도당 위원장 등을 거쳐, 제17, 19, 2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문재인 정부에서 국토교통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8·2 부동산 대책, 9·13 부동산 대책, 3기 신도시 발표 등 부동산 정책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가격 상승, 지역 주민 반발, 공시지가 개입 논란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또한, 다주택자 규제와 관련한 '내로남불' 논란, 일산 주민 항의에 대한 부적절한 대응, 홍콩 시위 관련 SNS 메시지 논란 등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2024년 3월에는 주택 가격 통계 조작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 장관 - 원희룡
원희룡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 수석 합격, 검사, 변호사를 거쳐 3선 국회의원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이지만, 총선 낙선과 여러 논란을 겪었다. -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 장관 - 노형욱 (공무원)
노형욱은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기획예산처, 국무조정실 등을 거쳐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하고, 현재 경제·국토교통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 전주여자고등학교 동문 - 박주현 (1963년)
박주현(1963년)은 변호사 출신 정치인으로,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을 역임하고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국민의당, 민주평화당, 민생당 등에서 활동했다. - 전주여자고등학교 동문 - 박보영 (법조인)
박보영은 순천남초등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후 수원지방법원 판사, 서울가정법원 부장판사 등을 거쳐 대법원 대법관을 지냈으며, 현재는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여수시법원 원로판사로 재직 중이다. - 문재인 정부의 국무위원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문재인 정부의 국무위원 - 김상곤
김상곤은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한신대학교 교수, 경기도교육감,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김현미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현미 |
로마자 표기 | Kim Hyeon-mi |
한자 표기 | 金賢美 |
출생일 | 1962년 11월 29일 |
출생지 | 전라북도 정읍시 |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거주지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
본관 | 김해 김씨 |
종교 | 개신교(예장통합) |
배우자 | 백정현 |
자녀 | 2남 |
학력 | |
대학교 |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
경력 | |
주요 경력 | 새정치국민회의 부대변인 새천년민주당 부대변인 대통령비서실 국내언론 정무제2비서관 열린우리당 경기도당위원장 민주당 수석사무부총장 더불어민주당 원내정책수석부대표 제20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제4대 국토교통부 장관 |
국회의원 | |
선거구 (17대) | 비례대표 |
선거구 (19대) |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
선거구 (20대) | 경기 고양시 정 |
당선 횟수 | 3회 |
의원 대수 | 17·19·20 |
임기 시작 (17대) | 2004년 5월 30일 |
임기 종료 (17대) | 2008년 5월 29일 |
임기 시작 (19대) | 2012년 5월 30일 |
임기 종료 (20대) | 2020년 5월 29일 |
장관 | |
직책 | 국토교통부 장관 |
임기 시작 | 2017년 6월 21일 |
임기 종료 | 2020년 12월 28일 |
대통령 | 문재인 |
국무총리 | 이낙연, 정세균 |
이전 장관 | 강호인 |
다음 장관 | 변창흠 |
기타 | |
공식 웹사이트 | 김현미 공식 웹사이트 |
![]() |
2. 학력
3. 경력
- 새정치국민회의 부대변인
- 새천년민주당 부대변인
- 2002년 청와대 부대변인
- 2003년 8월 ~ 2003년 12월 대통령비서실 국내언론 정무2비서관
- 2004년 열린우리당 공동대변인
- 2005년 4월 ~ 2007년 4월 열린우리당 경기도당 위원장
- 2011년 6월 민주당 수석사무부총장
- 2012년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고양시 일산서구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4년 5월 ~ 2015년 12월 새정치민주연합 원내정책수석부대표
- 2014년 8월 ~ 2015년 6월 새정치민주연합 전략홍보본부장
- 2015년 2월 ~ 2015년 6월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비서실장
- 2015년 12월 더불어민주당 원내정책수석부대표
- 2016년 4월 ~ 2016년 8월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 2017년 6월 ~ 2020년 12월 제4대 국토교통부 장관[26][27]
- 2017년 6월 ~ 2020년 12월 :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당연직위원
- 2017년 6월 ~ 2020년 12월 : 녹색성장위원회 당연직위원
- 2019년 5월 ~ 2020년 12월 :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정부)
- 2021년 5월 ~ : 전북대학교 특임교수
4. 의정 활동
국회의원 의정 활동 | ||
---|---|---|
임기 | 정당 | 비고 |
2004.05 ~ 2008.05 | 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 | 제17대 국회의원(비례대표) |
2012.05 ~ 2016.05 | 민주통합당 | 제19대 국회의원(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
민주당 | ||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 ||
2016.05 ~ 2020.05 | 더불어민주당 | 제20대 국회의원(경기 고양시 정) |
2003년 노무현 대통령에 의해 국내언론정무2비서관에 임명되었으나,[6] 이듬해 치러질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12월에 사퇴했다.[7] 제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었고,[8] 열린우리당 대변인에 취임했다. 2007년에는 대통합민주신당 대통령 후보였던 정동영의 대변인을 역임했으나,[9] 한나라당 후보 이명박에게 패배했다.
2008년 제18대 총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고양시 일산서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같은 해 6월, 전년도 대통령 선거 당시 이명박 대통령 배우자의 한국산 시계를 외국산 시계라고 주장했다는 이유로 허위사실 공표 및 후보자 비방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었다.[10]
2012년 제19대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4년에 창당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비서실장이 되었다.[11] 2016년 제20대 총선에서 당선된 후,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었다.[3]
5. 정책 및 활동
김현미는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출신으로, 김대중의 홍보 담당자로 정치에 입문했다.[3] 새정치국민회의와 새천년민주당에서 부대변인 등을 역임했고, 노무현 정부에서 국내언론정무2비서관을 지냈다.[6]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당 대변인을 맡았다.[8] 18대 총선에서는 고양시 일산서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10]
19대 총선에서 당선된 후,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비서실장을 역임했다.[11] 20대 총선에서 당선된 후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3]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국토교통부 장관으로 임명되어,[12] 2018년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남북 철도 연결 사업 착공식에 참석차 북한 판문역을 방문했다.[13]
2019년 5월, 3기 신도시 계획 발표 후 일산신도시 등 일부 지역 주민 반발 과정에서 "동네 물이 썩었네"라고 발언하여 논란이 되었다.[3] 2020년 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3]
2020년 6월, 경부고속도로 개통 50주년 기념비에 김현미 장관의 글이 새겨진 것을 두고 박정희 전 대통령 이름이 없다는 이유로 보수 진영에서 비판했다.[15]
5. 1. 부동산 정책
김현미는 2017년 문재인 정부의 국토교통부 장관으로 취임하여 부동산 정책을 주도했다.[12] 2017년 8·2 부동산 대책, 2018년 9·13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고, 2018년 말에는 3기 신도시를 발표했다.김현미 장관의 부동산 정책은 다주택자를 집값 상승의 원인으로 보고 이들을 규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정책 시행 결과, 서울과 지방 간 부동산 양극화가 심화되고, 한국감정원의 공시지가 산정에 국토교통부가 개입했다는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37]
2019년 5월 3기 신도시 추가 발표 이후, 김현미의 지역구인 일산신도시와 운정신도시, 검단신도시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했다.[35]
2020년 9월 22일, 김현미는 역대 최장수 국토부 장관이 되었으나, 수도권 아파트 가격 급등과 부동산 정책에 대한 반발로 야당으로부터 경질 요구를 받았다.[16] 결국 2020년 12월 말 사퇴했다.[17] 퇴임 후에는 부동산 정책 실패 책임론이 제기되며 더불어민주당 탈당 요구를 받기도 했다.[20] 2023년 9월에는 주택 가격 통계 조작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게 되었고,[21] 2024년 3월에는 직권남용죄 등으로 불구속 기소되었다.[22]
5. 1. 1. 8·2 부동산 대책
김현미한국어 장관은 다주택자를 집값 상승의 원인으로 보고, 집값 급등세를 잡기 위해 다주택자들을 규제하는 정책을 펼쳤다. 8·2 부동산 대책에서 김현미한국어 장관은 다주택자를 상대로 2018년 4월까지 집을 팔지 않으면 시세차익의 상당 부분을 양도세로 거둬들이겠다고 하였다. 동시에 은행 대출 규제 강화로 다주택자의 돈줄을 죄었다. 김현미한국어 장관은 "앞으로는 대출 끼고 집 사는 게 제한돼 지금처럼 자유롭게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28]그러면서도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세제ㆍ금융 혜택을 준다"며 다주택자들을 향해 임대사업자 등록을 권유했다.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임대료 인상률은 연 5% 이내로 제한되며, 임대소득에 대한 세금도 내야 한다. 대신 장기보유특별공제 등 양도세 감면 혜택을 줬다. 세입자 주거안정과 공평 과세의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것이 김현미한국어 장관의 의도이다.[28]
5. 1. 2. 취임 1년차 결과: 부동산 양극화 심화
김현미 장관이 국회에 제시한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상반기 집값 상승률(0.47%)은 지난 5년간 평균(0.61%)보다 낮아졌고, 전셋값 변동률(-0.99%)은 마이너스로 돌아섰다.[28] 하지만 강남 집값은 올라가고 지방 집값은 내려가 부동산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2018년 7월 29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2018년 6월 말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2017년 7월 말보다 평균 6.6% 상승했는데, 구별 결과를 보면 한강변에 있는 구들[29]의 아파트 값이 크게 상승한 반면 서울 외곽지역[30]은 최근 1년간 아파트값이 거의 오르지 않았다. 또한 지방 아파트값이 1년 전보다 평균 1.7% 하락했고, 지방의 빈집도 늘었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8년 6월 지방 아파트 입주율은 76.1%로, 2017년 7월 입주율(81.4%)보다 5.3°C 하락했다. 지방의 새 아파트 4집 중 한 곳은 입주자가 없는 셈이다.[31]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은 "가뜩이나 지역경제 침체와 입주물량 부담 여파가 큰 지방에 정부 규제로 매수 심리가 더 위축됐다"며 "다주택자 규제가 서울 '수요 쏠림'을 강화한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서울 강남이나 도심권은 공급이 부족하고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으로 수요가 꾸준하겠지만, 지방은 공급 과잉 등으로 집값 내림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31]
5. 1. 3. 9·13 부동산 대책
2018년 9월 13일, 문재인 정부는 종합부동산세 대상을 확대하고, 임대사업자의 세제 혜택을 없애는 등 다주택자를 규제하는 대책을 발표했다.[32] 이 대책으로 땅값 상승률이 둔화되고,[33]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최저치를 기록하는[34] 등 성과를 거두었다.5. 1. 4. 3기 신도시 및 수도권 광역교통망 대책
2018년 12월 남양주시 왕숙신도시, 하남시 교산신도시, 인천 계양구 계양신도시 3곳이 3기 신도시로 지정되었으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조속한 추진, 신안산선 착공, 신분당선 연장 등의 수도권 광역교통망 대책이 발표되었다. 2019년 5월에는 부천시 대장신도시, 고양시 창릉신도시 2곳이 추가로 3기 신도시로 지정되었다.그러나 2019년 5월 3기 신도시 추가 발표 이후, 김현미의 지역구(고양시 정)인 일산신도시와 운정신도시, 검단신도시 주민들로부터 강한 반발을 샀다.[35]
5. 1. 5. 2019년 국토교통부 공시지가 개입 논란
한국감정원이 2019년 1월 공개한 <2019년 표준지 공시지가>에 따르면, 2019년 공시지가는 2008년 이후 최대 폭인 6.02% 상승했다. 특히 명동, 강남, 홍대앞 등 서울시내 주요 상권의 2019년 공시지가는 전년도와 비교해 크게 상승했으며, 명동의 경우 1위인 네이처리퍼블릭 부지, 2위인 우리은행 명동지점, 3위인 유니클로 부지의 공시지가가 모두 전년 대비 100% 상승했다.[36][37]감정평가사들은 이러한 공시지가 상승이 "정부가 평가 과정에 구두로 개입해 비싼 땅의 공시지가를 급등시키라는 지침을 내린 결과"라고 주장했다. 국토부의 이러한 개입은 "행정권 남용"이라는 지적도 제기되었다. 법적으로 표준지 공시지가 산정은 감정평가사의 업무이며, 정부가 공시지가 산정에 사전 개입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없다.[37]
공시지가 상승으로 인해 보유세 및 임대료 상승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제기되었으며,[36]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상승 가능성과 기초연금 수급 노인들의 수급권 박탈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38]
5. 2. 기타 활동
- 박원순 서울시장과 여의도, 용산 개발, 그린벨트 해제 등과 관련하여 정책 엇박자 논란이 있었다. 2018년 7월 박원순 서울시장의 여의도·용산 통개발 발언으로 서울 집값이 급상승하자 김현미 장관이 제동을 걸었으며, 이후 서울시 내 그린벨트 해제에 대해서 국토교통부(찬성)와 박원순 시장(반대)이 팽팽히 대립한 바 있다.[39]
- 임기 중 진에어 사태, BMW 화재 사건, KTX 강릉선 탈선사고 등이 발생했으며, 이와 관련해 국토교통부 책임론이 제기되었다.[39]
- 경의선 및 동해선 등 남북한의 도로 및 철도 연결을 추진하고 있다.[40] 2018년 9월 남북정상회담 때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이 김현미 장관과 유독 길게 인사를 나누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으며, 김정은 위원장이 남북 철도·도로 연결 등 사회간접자본 투자에 큰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41] 그러나 KTX 강릉선 탈선사고 이후 "북한 철도에만 신경쓰고 우리 철도에는 신경쓰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은 "김현미 장관, 오영식 철도공사 사장 등 고위 관계자가 북한에 철도를 놓는 것에만 관심을 가져 일어난 일"이라며 "국내 철도에는 신경도 쓰지 않았기에 벌어진 사태다"라고 비판한 바 있다.[42]
6. 논란
김현미는 국토교통부 장관 재임 시절과 그 이후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2019년 5월, 3기 신도시 계획에 고양시 창릉 신도시가 포함되자, 일부 지역 주민들은 김현미를 "배신자"라고 비판하며 "3기 신도시 반대 일산 집회"를 열었다.[3][14] 2020년 고양시 일산서구청사 신년회에서 일부 주민들의 항의에 김현미는 "동네 물이 썩었네"라고 비꼬았지만, 이후 주민들에게 사과 문자를 보냈다.[3]
2020년 6월, 경부고속도로 개통 50주년 기념비에 김현미의 글은 새겨졌으나,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이름이 없어 보수 진영의 비판을 받았다.[15]
2020년 9월, 김현미는 역대 최장수 국토부 장관이 되었으나, 수도권 아파트 가격 급등과 부동산 정책 반발로 야당의 경질 요구를 받았다.[16] 결국 그해 12월 사퇴했다.[17] 퇴임식에서 김현미는 "임대차 3법" 통과로 국민 주거 안정이 실현될 것이라고 말했다.[17]
2020년 11월, 한국공인중개사협회는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 후보자를 내지 않았다. 협회는 절차상 문제라고 설명했지만, 부동산 정책 실패에 대한 항의 표시라는 해석도 나왔다.[18][19]
2022년 대선 이후,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은 김현미를 "부동산 정책 실패 책임자"로 지목하며 탈당을 요구했다.[20]
2023년 9월, 감사원은 김현미를 주택 가격 통계 조작 혐의로 검찰에 수사 의뢰했고,[21] 2024년 3월, 직권남용죄 등으로 불구속 기소되었다.[22]
6. 1. 다주택자 겨냥 정책 '내로남불' 논란
정부는 2017년 다주택자에 대해 양도소득세 중과를 담은 8·2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고, 부동산 대책의 주무부처 수장인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내년 4월까지 시간을 드렸으니 자기가 사는 집이 아닌 집은 좀 파시라"고 다주택자들을 겨냥하였다. 그러나 김 장관은 자신의 지역구인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일산 아이파크(실거래가 5억원~5.2억원)와 배우자 명의로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단독주택(기준시가 9100만원)을 보유 중이었다. 일산 아이파크는 여전히 김 장관 본인 명의로 돼 있었고, 경기 연천군 단독주택도 주변 공인중개업소 여러 곳에 확인했지만 매물로 나온 사실이 없다고 한다.[43] 이후 연천군 단독주택을 처분하고 1주택자가 되었으나, 자신의 동생에게 주택을 처분한 것으로 드러났다.[44]남동생에게 팔았던 연천군 주택은 최근 다시 김현미의 여동생에게 명의 이전되었다. 김현미는 남편이 그 집을 서재로 쓰기 위하여 여동생에게 팔았다고 한다. 즉 명의신탁을 인정하는 발언을 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불법 명의신탁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2018년 장관 시절에는 "자기가 사는 집이 아닌 집들은 좀 파시고..."라고 하여 1가구 1주택을 남들에게 강요하였지만 김현미는 내로남불을 하여 사실상 다주택자 생활을 한 것이다.[45]
6. 2. 일산 주민 항의 대응 논란
2020년 1월 12일, 고양시 일산서구에서 열린 신년 행사회에서 "고양시가 망쳐졌다"며 거칠게 항의하는 주민들에게 김현미는 "그동안 동네 물이 많이 나빠졌네"라고 발언했다.[46] 이후 김현미는 주민들에게 문자 메시지로 "수양이 부족했다"고 사과했다.[3]6. 3. 홍콩 시위 관련 SNS 메시지 논란
김현미는 2020년 1월 31일에 자신의 페이스북에 코로나19 범유행에 시달리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 주민들을 응원하기 위해 "홍콩의 민주주의를 응원하던 그 마음으로 우한과 함께 합니다. 우한의 의료인들 힘내세요. 우한 시민들 힘내세요. 加油 武漢(짜요 우한, 힘내라 우한), Pray for WUHAN(우한을 위해 기도를)"이라는 메시지가 적힌 포스터를 게재했다. 하지만 대한민국 정부가 중국 정부에서 내정 간섭 논란으로 비춰질 수 있는 민감한 사안인 홍콩 시위에 대한 입장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지 않은 상황에서 김현미가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여 논란이 되었다.[47] 실제로 대한민국 외교부는 2019년 11월에 있었던 대변인 정례 브리핑에서 "대한민국 정부로서는 최근 홍콩의 상황(홍콩 시위)에 대해 우려를 갖고 주목을 하고 있으며, 홍콩의 상황이 조속하게 평화적으로 해결되고 홍콩의 번영과 발전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라는 입장을 표명했다.[48] 결국 김현미는 문제의 메시지를 삭제했으며, 2020년 2월 5일에 "武漢 加油, Wuhan Jiayou"(우한 짜요, 우한 힘내라), "Pray for WUHAN"(우한을 위해 기도를)이라는 메시지가 적힌 포스터를 게재했다.7. 전과
8. 역대 선거 결과
선거 | 년도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비고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2004 | 비례대표 | 열린우리당 | 8,145,824표 | 38.26% | 당선 | 초선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2008 |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 통합민주당 | 40,198표 | 41.84% | 낙선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2012 |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 민주통합당 | 63,432표 | 50.64% | 당선 | 재선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2016 | 경기 고양시 정 | 더불어민주당 | 66,959표 | 49.15% | 당선 | 3선 |
참조
[1]
뉴스
First woman named to head Land Ministry
http://www.koreahera[...]
[2]
웹사이트
Minister Kim profile
http://www.molit.go.[...]
[3]
웹사이트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http://monthly.chosu[...]
2020-10
[4]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김수환 추기경 가문, 왕건의 개국공신 명문가
https://www.skyedail[...]
2016-07-11
[5]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6]
뉴스
大統領府報道官を更迭 秘書室組織も大幅調整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03-05-07
[7]
뉴스
大統領府、人事秘書官室を拡大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03-12-21
[8]
뉴스
与党新人議員ら30人余りが「対米批判声明」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04-06-20
[9]
뉴스
新党、「一気の大統領選予備選挙」も不透明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07-10-05
[10]
뉴스
大統領選の告訴告発事件捜査を終結 鄭東泳氏は起訴猶予へ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08-06-14
[11]
뉴스
「互いに言いたいことだけを言っていてはならない」 文在寅氏が朴大統領との会談に意欲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15-03-14
[12]
뉴스
韓国鉄道事業の「独占回帰」の愚、組合支持で当選した文在寅氏は労働貴族の主張丸のみ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7-07-11
[13]
뉴스
北朝鮮で南北鉄道の着工式…ただ、着手のめどは立たず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12-26
[14]
웹사이트
김현미 장관, 페북에 BTS 노래 공유한 까닭은?
https://www.seoul.co[...]
2019-05-20
[15]
웹사이트
경부고속도로 50년 기념비에 김현미는 있고, 박정희는 없다
https://www.chosun.c[...]
2020-07-08
[16]
웹사이트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김현미, 결국 '최장수 국토장관' 된다
https://www.hankyung[...]
2020-09-21
[17]
웹사이트
1285일만에 떠난 김현미 "임대차법 곧 효과낼 것"
https://www.mk.co.kr[...]
2020-12-28
[18]
웹사이트
"김현미가 주는 표창 안받아"…장관상 거절한 공인중개사협회
https://www.mk.co.kr[...]
2020-11-11
[19]
웹사이트
김현미 싫어서? 공인중개사협, 국토부 장관상 거절한 이유는
https://www.chosun.c[...]
2020-11-11
[20]
웹사이트
김두관 “노영민·김현미·김수현 출당해야…이재명 비대위 지방선거”
https://www.hani.co.[...]
2022-03-11
[21]
뉴스
文前政権高官ら22人の捜査要請 統計改ざんで=韓国監査院
https://www.wowkorea[...]
wowKorea
2023-09-15
[22]
뉴스
検察 前政権の高官ら11人を起訴 統計改ざん関連の容疑
https://rki.kbs.co.k[...]
KBS WORLD Radio
2024-03-15
[23]
뉴스
기독인 당선자 18명 추가 확인… 20대 국회의원 모두 93명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4]
기타
[25]
웹인용
박찬우 "김현미, 의원실IP로 포털·위키백과 학력 고의 삭제"
https://news.v.daum.[...]
2017-06-15
[26]
뉴스인용
文대통령, 곧 김현미 장관 임명장 수여…첫 여성 국토장관
http://news1.kr/arti[...]
2017-06-21
[27]
뉴스인용
文대통령, 김현미 국토부 장관에 임명장 수여
http://www.newsis.co[...]
2017-06-21
[28]
뉴스인용
'야전사령관' 김현미 ‘투기와 전면전’ 1년...절반의 성공
https://news.joins.c[...]
2018-07-29
[29]
기타
[30]
기타
[31]
뉴스인용
정부 "집값 잡겠다" 외친지 1년…강남 4억 뛰고 지방 불 꺼졌다
https://news.joins.c[...]
2018-07-29
[32]
뉴스인용
[포스트]다시 뜯어보는 9.13 부동산대책
http://news.bizwatch[...]
비즈니스워치
2018-09-20
[33]
뉴스인용
9.13 영향 전국땅값 3분기 연속 상승폭 둔화…최고상승률 '용인 처인구'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9-04-25
[34]
뉴스인용
1분기 가계 빚 증가 속도 '15년만에 최저'…부동산 규제 약발 먹혔다
https://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9-05-22
[35]
뉴스인용
3기 신도시 고양 ·부천 추가 발표-일산·파주·검단 주민 반발…교통대란 우려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19-05-13
[36]
뉴스
명동 공시지가 2배로… 토지도 '보유세 폭탄'
http://biz.chosun.co[...]
조선일보
2018-12-28
[37]
뉴스
"공시지가 2배 인상, 정부가 지침 내렸다"
http://biz.chosun.co[...]
조선일보
2019-01-04
[38]
뉴스
공시지가 30% 오르면 지역가입자 건보료 4% 상승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9-01-08
[39]
뉴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북 김영철은 고속철 원해···양도세는 소득세인데 낮추자는 건 잘못”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9-01-05
[40]
뉴스
김현미 "경제이익 남북 공유" 北 "남 눈치 보면 안돼"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8-12-26
[41]
뉴스
‘철도장관’ 기억한 김정은…김현미와 길게 인사하며 나눈 말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8-09-21
[42]
뉴스
김현미 장관 'KTX 사고' 사죄에도 "북한 철도만 생각하니 일어난 일" 비난 나와
http://www.ekn.kr/ne[...]
에너지경제
2018-12-09
[43]
뉴스
“김현미 장관도 집 안 내놔”…文정부 다주택 장관 10명, 안 팔고 버텨
http://biz.chosun.co[...]
조선일보
2018-07-08
[44]
웹인용
[단독] `다주택자` 꼬리뗀 김현미 장관, 동생한테 팔았다 - 매일경제 부동산 뉴스
http://estate.mk.co.[...]
매경닷컴
2018-07-08
[45]
웹인용
"살지 않는 집은 좀 팔아라"던 김현미 "다른데 팔면 남편이 못 쓰니까"
https://news.naver.c[...]
2021-06-10
[46]
웹인용
김현미 "일산 망쳤다" 항의하는 시민에 "동네 물 나빠졌네"
https://news.naver.c[...]
2020-01-14
[47]
웹인용
김현미, ‘홍콩 민주주의 응원하던 그 마음’ 우한 응원한 SNS글 논란
https://news.joins.c[...]
2020-02-07
[48]
웹인용
대변인 정례브리핑 (11.14)
https://www.mofa.go.[...]
2020-02-07
[49]
보고서
4·13 총선국회의원 당선자 전과현황
http://www.cubs.or.k[...]
바른사회시민회의
2016-04-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